헬싱키 프로세스의 개념
헬싱키 프로세스는 경제, 사회, 이념적으로 대립하는 다양한 국가가 인권, 군사안보, 과학기술 및 인도적 관심사에 대한 합의를 성공적으로 도출하여 역동적이 자생적 방식으로 개선해 나가는 과정을 지칭.
1975년 7월 헬싱키에서 미.소와 유럽지역 국가 35개국이 참여한 정상회의에서 '유럽의 안전보장 및 상호협력에 관한 헬싱키 최종의정서 (Final Act of the Conference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)'의 채택에서 1990년대 초 동구권의 붕괴, 냉전의 종식에 이르기까지 정치.안보, 인권, 경제, 환경분야에서 진행된 일련의 모든 과정을 의미.
헬싱키 협정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7%AC%EC%8B%B1%ED%82%A4_%ED%98%91%EC%A0%95
헬싱키 협정은 1975년 7월부터 8월 사이에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된 유럽 안보 협력 회의(Conference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, CSCE)에서 채택된 최종 합의 문서이다. 유럽 안보 협력 기구(OSCE)의 설립 배경이 된 문서이기도 하다.
이 협정은 소련을 포함한 유럽 33개국, 미국, 캐나다 35개국 정상이 서명했다. 협정에 참여한 국가들은 〈유럽 안보의 기초와 국가간 관계 원칙에 관한 일반적인 선언〉으로 명명된 최종 문서에 조인하였다. 많은 국가들이 이 조약을 승인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30년에 걸친 유럽 지역에서의 냉전은 종결되었다.
조약의 기본 내용
* 동등한 주권 인정
* 무력 사용과 위협 중단
* 영토 불가침
* 영토 보전
* 분쟁의 평화적 해결
* 내정 불간섭
* 사상, 양심, 종교, 신앙 등 기본적 자유와 인권 존중
* 인간의 평등과 자결권 보장
* 국가간 협력
* 국제법상의 의무 이행
참가국가
오스트리아,벨기에,불가리아,캐나다,키프로스,체코슬로바키아,덴마크,동독,핀란드,프랑스,그리스,바티칸 시국,헝가리,아이슬란드,아일랜드,이탈리아,리히텐슈타인,룩셈부르크,몰타,모나코,네덜란드,노르웨이,폴란드,포르투갈,루마니아,산마리노,소련,스페인,스웨덴,스위스,터키,영국,미국,서독,유고슬라비아
헬싱키 협정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ko.wikipedia.org
'자유게시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늘 방한한 사우디 왕세자의 석유기업 '아람코' 기업가치 1조~2조달러.. (0) | 2019.06.26 |
---|---|
이희호 여사 별세 (0) | 2019.06.13 |
문재인 대통령..이희호 여사의 부음에 부쳐 (0) | 2019.06.11 |
영등포-광명역 셔틀 시간표, 20190604 (1) | 2019.06.04 |
흔들리는 조선업 도시 '거제' .gisa (0) | 2019.06.03 |